2024/12 6

2025 신설 국가기념일 - 세종대왕 나신 날 & 우주항공의 날

2025년부터 국가기념일 2개가 신규로 지정된다고 한다.바로 ‘세종대왕 나신 날’( 5월 15일 ), ‘우주항공의 날’( 5월 27일 )이다.두 기념일이 '빨간 날'도 아니고 소시민의 일상에 이렇다할 영향은 없겠지만, 그렇잖아도 각종 DAY가 빼곡한 5월에 2개나 추가되니 좀 헤비하다는 느낌이 든다.뉴스에 나온 두 기념일의 지정 배경과 계획은 이렇다는데,세종대왕 나신날문체부는 세종대왕은 경제·사회·문화·국방 등 다방면에 걸친 업적이 있어 훈민정음 창제를 기념하는 한글날과 함께 세종대왕 나신 날을 별도로 지정하게 됐다고 설명함. 한글주간(10.4~10)에 시행하던 세종문화상을 앞으로 세종대왕 나신 날 기념행사에서 시상하고, 숭모제전 등 다양한 행사를 추진해 이날을 5월의 대표 문화축제의 날로 자리매김할 계..

생활 정보 2024.12.27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 - 금융용어사전

경제 기사나 금융상품 설명을 읽다 보면 발부리에 돌 채이는 것처럼 전문용어들이 수시로 등장하는데 용어사전이 절실하다. 금융감독원에서 서비스하는 은 특히 활용도 면에서 유용하다. 네이버 사전 같은 식으로 웹페이지에 사전이 탑재되어 있어, 궁금한 단어를 입력하면 손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찾기1.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 접속2. 금융꿀팁 찾기 > 금융용어사전 접속 https://fine.fss.or.kr/fine/fnctip/fncDicary/list.do?menuNo=900021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fine.fss.or.kr 사용법1. 검색창에 찾고자 하는 용어의 일부 단어나 한글 자음 또는 알파벳(대문자)을 입력 > 돋보기 버튼 클릭

예금자보호한도 1억 상향 예정, 저축은행 금리비교하기

내년 상반기 중 예금자보호한도가 1억으로 상향될 예정이다.관련 기사 - https://www.khan.co.kr/article/202411230900061예금자보호제도는 만약 은행이 파산하더라도 예금보험공사가 예금자 1인당 원금과 소정의 이자를 합하여 정해진 한도(기존 5,000만원)까지 보호하는 것.예금자보호한도 때문에 현금 부자들은 5천만원씩 여러 은행에 나누어 예치했겠지만, 1억으로 상향됐되면 번거로움이 줄어들 것 같다. 하지만 기사를 보면 작년 말 기준 금융권 예금자 중 5000만원 이하 예금자 비율은 98%에 달한다고 하니 실효성을 느끼는 사람들은 사실 소수인 셈이다. 투자 시장이 혼란스러워 현금을 들고 있는 사람들도 많아지는 때라 저축은행에서 예금을 예치하기 위해 특판이나, 고금리 상품을 내놓..

재테크 2024.12.06

출입국사실증명서 (출입국에 관한 사실증명) 인터넷 발급

목차출입국사실증명서 (출입국에 관한 사실증명) 인터넷 발급보험사 요청 서류출입국사실증명서 발급 과정해외여행을 떠날 때면 여행자보험에 들곤 한다. 여행자보험은 다양한 영역을 보장하지만, 사실 가입자 입장에선 사고 등으로 현지에서 의료비 지출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챙길 뿐 다른 항목은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얼마전 해외여행을 다녀오면서도 별다른 생각없이 여행자보험을 중간 정도의 보장범위로 설정하고 가입했다. 다행히 안전사고 문제는 없었지만, 이번 여행에선 비행기 지연 이슈가 있었다. 공항에서 겪을 수 있는 흔한 일이라고 해도 처음 겪은 일이라 당황했었다. 어쨌든 귀국하고 보니 가입한 보험의 보장 내용 중 '항공기 및 수하물 지연ㆍ결항 추가비용'이 있어서 보험을 청구하기로 함.가입금액(=보장한) 10만..

생활 정보 2024.12.05

교통민원24에서 자동차 미납 과태료 조회하고 납부하기

과태료 vs 범칙금과속, 신호위반, 주정차 위반 등 교통법규를 어겨 단속에 걸리면 과태료나 범칙금을 물게 된다. 과태료 : 무인 카메라에 적발, 차량 명의자에게 부과범칙금 : 경찰관에게 적발, 차량 운전자에게 부과범칙금은 사람 대 사람으로 적발되니까 위반사항으로 인해 범칙금을 납부해야 하는 걸 모를 리 없다. 다만, 과태료는 무인 카메라에 의해 단속되기 때문에 해당 사실을 전혀 생각하지 못하다가 뒤늦게 날아온 차량 과태료 통지서에 화들짝 놀라기도 한다.  다행히(?) 자동차 미납 과태료는 "경찰청 교통민원 24" 홈페이지에서 미리, 상시적으로 조회할 수 있다. 장거리 여행을 했다거나, 주행했던 도로에서 무언가 찜찜한 기분이 남는다면 미리 미리 확인하는 걸 추천.자동차 미납 과태료 조회 경찰청 교통민원 2..

생활 정보 2024.12.01
반응형